공지사항
  보상관련뉴스
  핫이슈
  그릇된 정보
    그릇된 판단
잇따른 대법판례, 유암종 일반암보험급 지급..
  • 올린이 : 관리지 ( 2019.07.23 13:12 ; From : 58.224.60.133 )
  • 조회 : 10108 회
  • 2018년 7. 24. 같은 날
    대법원이 유암종에 대해 일반암보험금을 지급하라는
    다소 의미심장한 2건의 판결을 잇따라 내놓았다.

    그 중 1건의 판결을 먼저 소개한다.

    대법원 2017다256828 판결은 2008년 이전에 가입한 암보험과 관련된다.
    (제4차 이전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가 적용되는 시기 가입한 암보험 계약이다)

    이 시기의 유암종(카르시노이드)은
    충수에서 발생한 상세불명의 유암종에 대해서는
    경계성종양(D37코드 등)으로 분류하고
    그 이외의 유암종에 대해서는 알반암으로 분류를 하였다.

    따라서 2008년 이전 가입한 암보험계약의 경우
    충수에서 발생한 유암종이 아닌 한
    경계성종양진단금이 아닌 일반암진담금을 지급해야 했다.

    그러나 보험회사는 그러하지 않았다.

    직장에 생긴 신경내분비종양이 다세포(L cell type)형으로
    (그런데 직장 유암종의 80% 정도가 L세포 타입 종양이라 한다)
    크기가 1cm미만이고, 1등급(grade1)이며, 혈관침범이 없는 경우
    경계성종양으로 분류를 해야 한다는
    대한병리학회가 외국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한
    2008년 및 2012년 논문에 따라

    대부분 일반임진단금이 아닌 경계성종양진담금 지급을 주장하고
    또한 실제로 그 같이 보험금을 지급하였다.

    그런데, 대법원은 위 판결에서
    보험회사 주장 및 판단이 타당하지 않다고 하면서
    유암종은 충수에서 발생한 경우를 제외하고는
    일반암진단금을 지급하는 것이 맞다고 하였다.

    대한병리학회의 논문 등이 합리성이 있는 것이기는 하나
    보험계약시 약관에 가입 당시의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를 사용하기로 한 이상
    그에 충실하게 해석해야 하는 것이므로
    유암종(카르시노이드)의 보험금은
    경계성종양진단금이 아닌 일반암진담금을 지급하는 것이 옳다는 것이다.

    이로써 유암종 진단보험금의 분쟁은 종결된 것인가?
    다음은 같은 날 내려진 대법원의 판례를 검토해보기로 한다.
    같은 날 내려진 유암종에 관한 대법원 판례는
    이 건과 달리 2008년 이후 가입한 암보험 계약에 관한 것이다.

    사고114
    이전글 : 2008년 이후 계약의 유암종 일반암진단금...
    다음글 : 육체적 노동자 정년 65세 적용의 대법원 판결..